앙상한 가지 끝에 빨간 홍시 서너 개를 달고 있는 감나무가 안쓰럽다. 푸르던 잎은 떨군지 오래다. 주렁주렁 매달렸던 홍시는 그래도 나무 꼭대기에 남아 까치밥이 됐다. 하늘을 맴돌던 직박구리 한 마리 홍시에 부리를 묻고 연신 쪼아댄다. 시인 김남주는 ‘옛 마을을 지나며’라는 시를 통해 ‘나무 끝을 나는 까치를 위해 홍시 하나 남겨둘 줄 아는 조선의 마음이여’라고 읊었다. 까치밥은 ‘감나무의 열매 중 따지 않고 까치 등 날짐승이 먹으라고 남겨 놓은 감’을 뜻한다. 너나 없이 가난한 세상,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시절에도 생명의 온기를 나눴던 배려가 담겨 있다. 까치밥은 자연과 함께 사는 조상들의 지혜다. 지혜의 보고 탈무드도 ‘늘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라’고 가르친다. ‘까치밥을 따 버리면 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