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 앞에서 일하다 앉은 채 선종한 ‘노동사목의 아버지’ 도요안 신부
‘구구팔팔, 일이삼사~’
지난주 TV조선 ‘미스트롯3′ 준결승전을 시청하다가 흥얼거린 노래입니다.
‘99881234′가 제목이지요. 나영이 부른 이 노래는 이미 나온
곡이 아니라 이번에 작곡한 신곡입니다.
‘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하루 이틀 삼일만 아프다 가자’는 가사입니다.
처음 듣는 노래였지만 멜로디는 귀에 쏙쏙 들어오고 가사도 입에 착착
감겨서 2절부터는 관객들도 따라 부를 정도였지요.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노래를 들으면서 누구나 비슷한 생각을 했을 겁니다. ‘99세까지는
몰라도 팔팔하게 살다가 짧게 아프고 가고 싶다’ 이런 생각을요.
이 노래를 들으면서 제 머릿속에는 한 미국인 신부님이 떠올랐습니다. 지난
2010년 선종(善終)한 도요안 신부님입니다. 한국 천주교계에서 ‘노동사목의
아버지’로 불린 분입니다. 1959년 살레시오회 선교사로 한국과 첫 인연을
맺은 도 신부님은 사제서품 후인 1968년 정식으로 한국에 부임했지요.
전태일 분신사건 이듬해인 1971년 당시 김수환 추기경의 부탁으로 당시
한국엔 용어조차 낯설었던 ‘노동사목위원회’를 만들어 평생 노동자들의
어려움을 돌보는 역할을 맡았던 분입니다.
그런데, 참 이상한 일입니다. 도 신부님은 99세까지 장수(長壽)하신 분이
아닙니다. 73세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생전에 건강하시지도 않았습니다.
90년대초부터 신장암, 척추암, 임파선암 등 각종 질병으로 고생하셨지요.
그럼에도 ‘99881234′ 노래를 들으면서, 건강하게 장수하다 편안하게
세상을 떠난 종교인도 많은데, 하필 도 신부님이 떠올랐을까요.
저 스스로도 의문이었습니다. 곰곰히 생각을 하다 제 나름대로 찾은 이유는
‘하루 이틀 삼일만 아프다 가자’라는 부분이었습니다. 도 신부님은 많은
질병으로 고통 받았음에도 이틀, 사흘은커녕 하루도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 선종하셨거든요.
도 신부님은 자신의 사무실 책상에 앉은 채로 선종했습니다. 정확하게는
‘앉은 채로 발견’됐습니다. 당시 부음 기사엔 “도 신부님은 마지막까지
책상 컴퓨터 앞에서 내년 노동사목위원회 40년사 원고를 집필하시던
모습으로 선종하셨다”는 증언이 실렸습니다.
누구나 삶의 마지막 순간을 병원 침대에서 보내는 것은 원하지 않을 겁니다.
오히려 자신이 하던 일을 하면서 세상을 떠나기를 바라곤 하지요. 흔히
배우나 가수는 ‘무대 위에서 죽고 싶다’고 하고, 미술가들은 ‘붓을 들고 죽고
싶다’고 하지요. 그런 점에서 도 신부님은 평생 하던 일을 하던 중 세상을
떠났으니 행복한 분이 아닐까요...(중략)
(출처:조선일보)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여러분께 호소합니다 !!! (0) | 2024.03.09 |
---|---|
위대한 의사... '올리버 골드스미스' (0) | 2024.03.07 |
◇이것이 인생 (0) | 2024.03.05 |
가는 길녁 (0) | 2024.03.05 |
□ 일본 노인들의 단시 (3)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