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및 뉴스

2·8독립선언서 ‘육필 영문본’ 104년만에 발견

김정웅 2023. 2. 23. 10:48

거사前 유학생이 쓴 초고 가능성
우리말-영어-일본어 선언서 중 유일 육필본
“독립운동, 해외동포와 연대 보여줘”

 

2.8독립선언서 육필본

1919년 3·1운동의 기폭제가 된 2·8독립선언서 육필(肉筆) 영문본(육필본·사진)이 
104년 만에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 확인된 하나뿐인 육필본 2·8독립선언서로, 
춘원 이광수(1892∼1950) 등 거사를 주도한 일본 도쿄 조선인 유학생이 
직접 쓴 선언서 초고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독립기념관(관장 한시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20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에서 대여해 온 자료를 분석하다 육필본을 발견했다고 
22일 밝혔다. 2·8독립선언은 1919년 2월 8일 도쿄 YMCA 강당에서 조선인 
유학생 600여 명이 독립선언서와 결의문을 낭독한 사건이다.

필기체로 된 6쪽 분량의 육필본은 첫줄 제목에 “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조선독립선언)”라고 썼다. 한일 강제병합을 두고 “a great blot on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세계 흥망사에 특필할 인류의 큰 수치이자 치욕)”라고 표현하고, 
“we shall fight to the last drop of blood(일본에 대해 영원한 혈전을 선언하리라)”라고

쓰는 등 2·8독립선언서 국문본의 내용이 그대로 담겼다. 육필본의 필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1919년 1월 말경 유학생들이 거사 전 대한인국민회로 

발송한 영문 초고본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2·8독립선언서는 이광수와 최팔용(1891∼1922)을 비롯한 유학생들이 함께 우리말

(국한문 혼용)로 작성한 뒤 각국 대사관과 언론에 배포하기 위해 영어와 일본어로도

작성했다. 이광수는 1월 31일 중국 상하이로 파견됐고, 영문본 선언서는 2월 8일 오전 

각국 대사관에 뿌려졌다. 일본 외무성 자료인 ‘불령단관계잡건(不逞團關係雜件)’에 

따르면 배포된 영문본은 타자기로 친 원고였다. 

 

선언서 분석을 맡은 진주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은 “육필본이 미국으로 

보내진 건 선언서를 타자기로 치기 전일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라고 설명했다.(중략)

(출처: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