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역대 임금 중 재위 기간 52년에 82세에 생을 마감한 21대 영조 임금을
제외한 대부분의 임금님들은 수명이 그리 길지 않았다.
몇백 년 전의 짧은 평균수명도 무관하지 않지만, 과중한 업무와 기름진 음식
과다 섭취와 운동부족, 의료수준 낙후, 또 여러 명의 부인에게 잦은
출입은 수명도 재촉하지 않았을까 한 생각이 든다.
고종황제가 행차를 하다가 땀을 뻘뻘 흘리며 테니스 라켓을 들고 이리 뛰고
저리 뛰는 미국인들의 모습을 보고, "어찌 저런 일을 하인들에게
시키지 않고 귀빈들이 하느냐?"고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이 황제의 탄식은 당시엔 운동의 필요성을 전혀 모르고 한 이야기임이 틀림이 없다.
요즘이라면 만사를 제치고 열심히 운동을 먼저 하시지 않았을까?
조선 3대 태종(1367~1422, 재위 1400~1418)은 10명의 부인과의 사이에 12남 17녀를
두어 총 29명의 자녀를 두었고, 조선 9대성종(1457~1494, 재위 1469~1494)은
12명의 부인 사이에 16남 13녀를 두어 역시 29명의 자녀를 두었다.
각각 55세, 37세에 생을 마감했으니 수명이 그리 긴 편은 아니다.
두 분은 역대 임금 중에서도 여러 명의 부인과 다수의 자녀 생산을 하여 길지 않은
수명과 어떤 관계가 있지 않을까 궁금한 생각이 든다.
세종대왕 역시 6명의 부인에게서 18남 4녀를 두었고 54세에 생을 마감하였다.
참으로 놀라운 사실은 세종대왕의 경우, 새벽 4시에 상참을 하여 늘 이른 새벽에
조례를 시작했다면 3시쯤에는 기침(起寢)을 해야 하는데, 그 많은 업무와 짧은
수면 시간에 여러 침소의 잦은 출입을 어떻게 감당했을까 궁금하다.
과연 안팎으로 에너지 넘친 임금님이었다.
밤낮으로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다 못한 김종서는 임금님 곁에 있다가는 제命에
못 살 것이라며 궁궐을 떠나 삭풍이 몰아치는 북방을 개척하겠다며 스스로
도망가다시피한 이 사실도 에피소드만은 아닐 것이란 생각이 든다.
세종대왕이 신하들에게 그리 닦달하지 않았다면 정치,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방면으로 그리 훌륭한 업적을 쌓는 일이 가능이나 했을까? 일하는 사람보다
일을 시키는 사람이 더 부지런해야 함은 물론이다.
세종대왕이 영면한 영릉(英陵) 입구에 전시된 그의 업적을 보면 그것은 과학
방면의 천문 관측 기기 전시의 일부분일 뿐이다. 놀랍지 않은가?
거기에 오늘날 우리 모두가 매일 쓰는 한글 창제까지…
-'조선왕조실록 야사'-
'일반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닭 새끼 (0) | 2025.04.19 |
---|---|
■ 유네스코 세계 기념 인물, "다산 정약용" (0) | 2025.04.19 |
▣노인의 육법전서 / 워렌 버핏 (0) | 2025.04.17 |
선물을 보낸 사람의 정체는? ... 누구일까요~~ (0) | 2025.04.15 |
☆108 번뇌의 의미☆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