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득 한국인의 마음에 새겨진 문장 5가지를 고른다면 어떤 것일까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는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인 것 같다.
한국인 애송시 1위로 꼽는 윤동주의 <서시> 의 첫 문장인데, 왜 이 문장이
우리의 가슴에 그토록 메아리칠까? 그것은 겨레의 아픔과 함께 한 윤동주라는
시인과 이 시가 지닌 고결한 마음 때문인 것 같다. 좀더 넓게 보면 기독교,
불교, 유교가 공히 지향하는 깨끗한 마음과 통한 것 같다.
두 번째는 '신에게는 아직 열두 척의 배가 있사옵니다' 인 것 같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이 문장을 좋아한다. 정유재란 때 우리 수군이 궤멸되자 선조는 누명을
쓰고 백의종군하던 충무공 이순신에게 다시금 삼도수군 통제사를 맡긴다.
하지만 며칠 후 '지휘할 수군이 없다면 권율을 돕도록 하라'고 하자 충무공은
열두 척이 있음을 밝히며 '죽을 힘을 다해 맞서 싸우면 이길 수 있사옵니다.
미천한 신(臣)이 아직 죽지 않았으니 적들이 감히 우리를 업신 여기지 못할
것이옵니다' 라고 보고한다. 그리고 적선 333척을 격파하여
세계 해전사에 빛나는 명량대첩을 이룬다.
세 번째는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니, 꽃 좋고 열매 많나니 /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니, 내(川)가 되어 바다에 가나니' 라고 생각한다.
한글 최초의 시가집 <용비어천가>를 통틀어 가장 아름답고 균형이 있으며 유명한
문장이다. 이 문장의 키워드는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인데, 각각 잡지의
제목으로도 쓰일 만큼 뜻이 깊고 정이 가는 말이다. 이 키워드를 보면, 우리는
아주 오래전부터 끈기있고 은근하며 심지가 굳은 마음을 좋아하는 것 같다.
네 번째는 '애국가'의 첫 구절. '동해 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다. 아직도 이 노랫말을 지은 분은 모르지만 그분에게 감사드린다.
프랑스와 미국의 국가를 들어보면 피가 튀고 화염이 날아가며 영국과 일본의 국가는
왕을 찬양한다. 하지만 애국가는 우리의 아름다운 자연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담았다. 얼마나 사랑하면 동해 물이 마르고 백두산이 닳도록 영원하기를 바랄까?
다섯 번째는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다.
우리에게 삶은 아득한 고갯길을 넘어가는 것. 님이랑(알이랑) 함께 가야지만
가능한 것이라고 이 문장은 말한다.
요즘 같은 세상 살아가는 일도 쉽진 않겠지만 우리가 바르고 꿋꿋하고 맑고
따뜻한 정신을 갖고 있다면 이겨내지 못할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모셔온 글)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은 내가 보는대로 존재한다. (0) | 2025.04.02 |
---|---|
"꽃 구경" / 노융성 (0) | 2025.04.02 |
● 춘분 연가 (0) | 2025.03.31 |
♥ 열 매 (0) | 2025.03.31 |
♧"나를 흐르게 하소서"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