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세계자연유산인 용천동굴의 하류 수중(호수)구간을 유산지구에
추가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보전관리 및 활용 시행계획'(2023∼2027)
고시를 통해 용천동굴 내 가장 하류에 있는 수중구간 약 800m를 세계자연유산
지구에 추가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구간은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당시 위치가 파악되지 않아 유산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2009∼2010년 조사를 통해 위치가 확인됐고 2011년 1월
문화재구역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용천동굴은 2005년 5월 당시 한국전력의 전봇대 설치를 위한 굴착 작업 중 발견됐다.
발견 직후 문화재청은 용천동굴의 가치를 인정해 천연기념물 제466호로 지정했다.
이어 2007년에는 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거문오름용암동굴계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거문오름에서 분출된 용암류가 지표의 경사면을
따라 해안으로 흐르면서 만들어진 동굴군이다. 전체 길이가 14㎞로 추정된다.
이중 용천동굴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희귀한 동굴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동굴 내부에는
석회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한 탄산염 동굴 생성물이 가득하다.
크고 긴 규모로 웅장함도 뽐낸다. 용천동굴의 길이는 주굴과 지굴 약 2.6km와 동굴
내 위치한 800m 크기의 호수를 포함해 약 3.4km에 달한다.
2010년 국립제주박물관 조사 결과 동굴 내부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출처:중앙일보)
'시사 및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만배 과포화, 온난화 부른다"…북극 지하수가 뿜는 이 가스 (0) | 2023.07.08 |
---|---|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현주소 (0) | 2023.07.08 |
IAEA 사무총장 "한국 오염수 우려 알아…야당과도 만나고 싶어" (0) | 2023.07.07 |
정부 “日 오염수 방류 계획, 국제기준 부합" (0) | 2023.07.07 |
광우병 사태 때 뿌려진 전단지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