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및 뉴스

"유례 없는 희귀함" 세계자연유산 노리는 제주 비밀명소

김정웅 2023. 7. 8. 00:50

세계자연유산 '용천동굴'

제주 세계자연유산인 용천동굴의 하류 수중(호수)구간을 유산지구에 

추가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세계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보전관리 및 활용 시행계획'(2023∼2027) 
고시를 통해 용천동굴 내 가장 하류에 있는 수중구간 약 800m를 세계자연유산 
지구에 추가하는 절차를 밟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이 구간은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당시 위치가 파악되지 않아 유산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2009∼2010년 조사를 통해 위치가 확인됐고 2011년 1월 
문화재구역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용천동굴은 2005년 5월 당시 한국전력의 전봇대 설치를 위한 굴착 작업 중 발견됐다. 
발견 직후 문화재청은 용천동굴의 가치를 인정해 천연기념물 제466호로 지정했다.

이어 2007년에는 벵뒤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 당처물동굴 등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지구인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위치한 용천동굴 내부의 호수

 

거문오름용암동굴계란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거문오름에서 분출된 용암류가 지표의 경사면을 
따라 해안으로 흐르면서 만들어진 동굴군이다. 전체 길이가 14㎞로 추정된다.

이중 용천동굴은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희귀한 동굴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동굴 내부에는 
석회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한 탄산염 동굴 생성물이 가득하다.

크고 긴 규모로 웅장함도 뽐낸다. 용천동굴의 길이는 주굴과 지굴 약 2.6km와 동굴 

내 위치한 800m 크기의 호수를 포함해 약 3.4km에 달한다.

2010년 국립제주박물관 조사 결과 동굴 내부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출처: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