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일하는 ‘옥토제너리언(80대를가리키는 표현)’가 늘어나고 있다.
수명이 길어지는 현상과 맞물려 80대에도 일을 할 수 있는 체력과 정신력을
유지하면서 일터를 지키는 장년들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예전 같으면 병석에 누워 하루를 보낼 나이인데도 불구하고 생업에 종사하며
건강을 유지하고 후세대 직장 동료들에게 경험에서 나오는
지혜를 전수하고 있다.
내년에 펼쳐질 미국 대선에서 주목받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가 ‘80′이다.
민주·공화 양당의 유력 후보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가운데 누가 당선되더라도 80세가 넘는 나이에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1942년생 바이든 대통령은 이미 81살로 역대 최고령 미국 대통령이
됐고, 1946년생인 트럼프 전 대통령도 당선되면 임기 후반에 80대에 접어든다.
그뿐 아니다. 올해 1월 3일까지 미국 연방 하원의장을 지낸
민주당 낸시 펠로시 의원도 83세다.
정치인뿐만이 아니다.
영화배우 해리슨 포드(1942년생)는 81세가 된 올해 다시 한번 관객들 앞에 섰다.
학계에서는 영국 동물학자 제인 구달이 이목을 끈다. 지난 7일에는
이화여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업에서도 ‘옥토제너리언’이 하나 둘 늘어나고 있다.
올해 93세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과 글로벌 방산업체 텔레다인
테크놀러지스의 '로버트 머레이비언'(82) 회장이 있다.
일본은 평균 수명(84.3세)이 세계에서 가장 긴 나라답게 80대 근로자 수도 많다.
기업들도 80대 근로자 채용에 적극적이다. 일본의 가전제품 판매 기업 노지마는
80세 나이 상한선을 없앴고 80대 신입사원도 채용하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지퍼 제조회사인 YKK그룹도 2021년에 65세 정년을 폐지했다.
우리나라 80대 근로자도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노동연구원 집계에 따르면 80대 중에서 5명에 한 명꼴로 일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 기업 가운데 나이가 80세가 넘는 등기임원의 수는 2014년에는
31명이었는데, 지난해에는 120명으로 늘었다.
- 곽창렬 조선일보기자
'시사 및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상훈 칼럼] 한국인 팔자를 고친 역사적 베팅 (0) | 2023.08.14 |
---|---|
*️⃣" 윤석열 대통령께 올립니다." (0) | 2023.08.13 |
전라도 시인 정재학의 일괄 (1) | 2023.08.12 |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0) | 2023.08.12 |
우리를 바로알자 /문창극 (1)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