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추측난제’ 해결… “보통 수학자 평생 1개도 못풀어”
[‘수학 노벨상’ 한국계 첫 수상]
시인 꿈꾼 고교 자퇴생 ‘수학계 노벨상’ 품었다
허준이 교수,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 교수(39·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계로는 최초로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을 품에 안으며 한국 수학계에 새 역사를 썼다.
국제수학연맹(IMU)은 5일 오전(현지 시간)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에서 필즈상 수상자로
허준이 교수와 마리나 뱌조우스카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교수, 위고 뒤미닐코팽 프랑스
고등과학원 교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필즈상은 탁월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에게 수여하는 수학계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에서 발표와 수여가 이뤄진다.
노벨상에 수학 분야가 없어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이날 알토대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한 허 교수는 수상자로 호명되자 동료 수학자 200여 명의
박수갈채를 받으며 거듭 고개를 숙여 인사했다. 허 교수는 이번 수상에 대해 “좋아하는 일을
하며 의미 있는 상을 받게 돼 기쁘다”며 “나의 수학적 영웅 이름 아래에 내 이름이
오르게 된다니 낯설고 무게가 많이 느껴진다”고 소감을 밝혔다.
필즈상은 수학 역사가 깊은 미국과 유럽에서 대부분 수상자가 나온다. 아시아권엔 벽이 높다.
1936년 필즈상 시상을 처음 시작한 이후 아시아 출신으로는 허 교수를 포함해 지금까지
9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최근 30년 내엔 허 교수 외에 이란 테헤란공대 출신의
고(故) 마리암 미르자하니 교수(2014년 수상)가 유일하다.
일본은 3명, 중국은 1명을 배출했다.
(출처:동아일보)
'시사 및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21 '보라매' 지상활주 첫 공개…이륙만 남았다 (0) | 2022.07.09 |
---|---|
이준석, 당원권 정지 6개월…초유의 현직 당대표 징계 (0) | 2022.07.08 |
尹정부, 탈원전→친원전 공식화…전 정부 에너지 정책 전면 교체 (0) | 2022.07.05 |
‘우크라룩’ 입은 김건희 여사에... 주한우크라 대사관 ♡로 화답 (0) | 2022.07.02 |
문재인 정권, 더불어민주당은 왜 실패했는가?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