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병으로 배 부분이 앞·뒤 양면으로 납작한 편평한
모양이며, 크기는 높이 22.6㎝, 입지름 4.5㎝, 밑지름 8.7㎝이다.
백토을 두껍게 입히고 조화수법으로 무늬를 그린 위에 연한 청색의 투명한 유약을
칠하였다. 앞·뒷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로 향한 두 마리의 물고기를
생동감이 넘치는 선으로 나타냈다. 물고기 무늬는 분청사기 조화수법의
특징을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데 조화수법이란 백토로 분장한 그릇에
선으로 음각의 무늬를 새겨넣고 백토를 긁어내어 하얀선으로 된
문양을 만드는 기법이다. 양 옆면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위와
중간에 4엽 모란무늬을 새기고, 배경을 긁어냈으며
아랫부분에는 파초를 넣었다.
바탕흙은 회청색으로 백토분장이 된 곳과 분장이 안 된
곳과의 대조가 선명하다.
- 문화재청 홈페이지 -
'문화 . 예술 > 우리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권력자도 탐한 명화...[이은화의 미술시간] (0) | 2025.01.16 |
---|---|
"집안 어르신 소장품…" 진품명품 최고가 찍은 '이 청자' 뭐길래 (5) | 2024.10.03 |
"일본 배척한 폭도"…日 헌병이 가져간 의병 문서 돌아왔다 (0) | 2024.08.14 |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첫 공개… 공간 제약 없이 시간 측정 (0) | 2024.08.01 |
검푸른 녹 제거하자 수천년 전 한반도 생활상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