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조선영토로 표기한 김대건 신부 제작 '조선전도'
독도를 'Ousan'으로 표기…우리 영토란 사실 서구에 알리는 데 결정적 역할
김대건 신부가 제작한 조선전도
일본 정부의 부당한 경제보복 대응으로 '노(NO) 재팬 운동'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 김대건(1821∼1846년) 신부가 1845년 서울에 머물면서
선교사를 위해 제작한 조선전도가 주목받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 영토로 명확하게 표기했기 때문이다.
1861년 제작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보다도 16년 앞서 제작된 조선전도는
지명을 한국식 발음의 로마자로 표기해 서구사회에 우리나라
지명을 소개한 첫 번째 지도다.
1855년에는 프랑스 지리학회보에도 수록돼 6개 국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김대건 신부는 이 지도에서 울릉도 동쪽에 독도를 그리고 로마자로 'Ousan'이라고
뚜렷이 표기함으로써 19세기 중엽에 이미 독도가 우리 고유영토란 사실을
서구 사회에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실제로 조선전도 제작 이후 리델 주교가 1869년 한중일 지도를 제작하면서
독도를 조선 영토로 명기했고, 1874년 달레 신부도 조선지도에 독도를
조선 영토로 표기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출처:연합뉴스)
'시사 및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교수 3400여명 서명 - 청와대 앞 “조국 OUT” 외침 (0) | 2019.09.19 |
---|---|
"여러분의 기분을 풀어드립니다!" - 김태우 전 수사관 (0) | 2019.09.18 |
김문수 前 경기도지사 삭발투쟁 동참 (0) | 2019.09.17 |
“한국, 부패한 부자보다 강남좌파 해악이 더 커” (0) | 2019.09.17 |
“조국, 내려와 檢 수사받아라”…황교안, 靑 앞서 삭발 감행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