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는 사바세계를 벗어나 해탈을 향해 가는 데 있어서, 그 거쳐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인욕(忍辱)을 말하고 있습니다.
인욕이란, 욕됨을 참고 안주한다는 뜻으로 온갖 모욕과 번뇌, 그리고 어려움을
참고 이겨내며 원한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뜻합니다.
일본의 선불교를 중흥시킨 백은(白隱, 1685~1768)선사는
한 때 송음사에 머물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백은선사가 기거하던 절 입구 마을의 두부장수집 딸이 이웃 사내와
정을 통하여 아기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 사실을 안 딸의 부모는
크게 분노하여 몽둥이를 들고 심하게 추궁했습니다.
"감히 처녀의 몸으로 아이를 가지다니!
어느 놈의 씨를 뱃속에 넣었느냐?"
살기등등한 부모님의 추궁에 딸은 사실대로 말 할수가 없었습니다.
사실대로 말하면 청년도 죽고 자신도 죽고 뱃속의 아이도 죽기 때문입니다.
"몽둥이로 패 죽이기 전에 사실대로 말해라, 내 그놈을 가만 두지 않겠다."
몹시 화가 난 처녀의 부모는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대라고
딸을 심하게 추궁하였습니다.
딸은 얼떨결에 "윗 절의 백은스님." 라고 대답 했습니다.
평소 두부 장수는 백은 선사를 존경했고, 이웃의 모든 사람들도 존경했기 때문에
평소 존경했던 스님을 죽일 수는 없었으나 그 존경의 마음은 사라지고
분노의 마음이 백은스님께로 옮겨갔습니다.
그리고 몇 달 뒤, 딸이 사내아기를 낳자 딸의 부모는
아기를 안고 스님을 찾아와 말했습니다.
"당신의 잘못으로 생겨난 당신의 아들이니 당신이 키우시오"
스님은 '좋다 싫다'는 말 한마디 없이 아기를 안고 집집을 찾아 다니며 젖을
얻어 먹였고 똥오줌을 받아주고 목욕도 시키며 정성껏 키웠습니다.
온갖 욕설과 비난을 받으며 백운선사는 젖 동냥과 음식구걸로
애지중지 아기를 잘 키웠습니다.
아기의 진짜 아버지는 대장간에서 일하는 젊은 청년이었습니다.
두부장수 딸과 청년은 결혼하게 되었고, 더 이상 참을 수 없게 된 처녀는 마침내
부모에게 이실직고 하기로 하였습니다. 친부인 대장간 청년, 그리고 처녀의
부모들은 처녀를 대동하고 백은선사에게 달려가 전후 사정을 고하고
용서를 빌며 아기를 돌려 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러자 백은 선사는 순순히 아기를 내어 주며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아, 그런가?"
백은선사는 자신의 아이라고 인정하지도 않고 부정하지도 않았습니다.
단 한마디의 변명이나 꾸중도 없이 단지 "아, 그런가?"라고
말했을 뿐이었습니다.
백은선사는 자신이 결백하였지만 구차하게 자신을 변명하거나 방어하지
않았습니다. 백은선사의 인욕이 세 사람을 살린 것 입니다.
그 후로 그의 명성은 일본 전체에 퍼지게 되었습니다.
세상을 살다보면 정작 이게 아닌데 하며 내 뜻과는 다르게
억울하고 마음 상한 일을 겪게 됩니다.
또한 궁색한 변명은 오히려 다툼만 일으키고 오해만 커지게 됩니다.
자기자신에게 정당하고 결백하다면 굳이 변명하거나
방어하지 말고 힘들더라도 참아보세요.
"아, 그런가?"
(모셔온 글)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레 쓸라(Apres cela) (0) | 2025.05.24 |
---|---|
♣삶이란? (0) | 2025.05.23 |
♡ 어머니의 흰머리 ♡ (0) | 2025.05.22 |
■"99의 노예" (0) | 2025.05.21 |
◇좋은 사람의 향기◇ (0) | 2025.05.19 |